65세 기초연금·국민연금 동시 수령 가능할까? 2025년 감액 기준과 실제 계산 총정리
65세 이상이 되면 본격적으로 기초연금과 국민연금(노령연금)을 받을 수 있는 시기가 찾아오죠.
많은 분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건 바로 “두 연금을 동시에 받을 수 있을까?”입니다.
2025년 기준 제도 변화부터 감액 규정, 실제 예시, 신청 꿀팁까지 모두 정리해드릴게요!
1. 기초연금이란? (2025년 기준)
기초연금은 만 65세 이상 어르신 중 소득 하위 70%에 해당하면 받을 수 있는 제도예요.
2025년 기준 지급액은 다음과 같습니다.
|
구분 |
2025년 기준 금액 |
단독가구 최대 금액 |
342,510원 |
단독가구 소득인정액 기준 |
월 2,280,000원 이하 |
부부가구 소득인정액 기준 |
월 3,648,000원 이하 |
단, 공무원·군인·사학연금 수급자 및 배우자는 제외됩니다.
기초연금이 ‘국민 모두 지급’이라고 오해하는 경우도 많지만 실제로는 소득·재산 기준이 매우 중요합니다.
2. 국민연금(노령연금) 핵심 요약
국민연금은 최소 10년 이상 가입하고 연령이 도달하면 받을 수 있어요.
1960년생 이후부터는 만 65세에 본 수령이 시작됩니다.
■ 국민연금 금액 계산 기준
- 가입 기간(10년~40년 이상)
- 소득 수준 및 납부 보험료 총액
- 전국 평균소득(A값)
평균적으로 월 50~60만 원을 받으며, 가입 기간이 길면 월 100만 원 이상도 가능합니다.
조기수령을 선택하면 최대 30% 감액된다는 점도 꼭 기억하세요.
3. 기초연금 + 국민연금 동시 수령 조건
결론부터 말하면 기초연금과 국민연금은 동시 수령 가능합니다.
하지만! 일정 조건을 넘으면 기초연금이 감액됩니다.
■ 감액 규정 요약
|
구분 |
감액 기준 |
국민연금 감액 기준선 |
기초연금액 150% = 513,760원 초과 시 |
초과액 감액률 |
초과분의 50% |
가입기간 감액 |
12년 이상 시 1년마다 -1만원 |
최대 감액 한도 |
171,250원 (기초연금의 절반) |
즉, 국민연금이 많을수록 기초연금은 줄어드는 구조예요.
4. 실제 계산 예시 (국민연금 금액별)
|
국민연금 |
기초연금 감액 |
최종 기초연금 |
합산 총액 |
300,000원 |
0원 |
342,510원 |
642,510원 |
500,000원 |
0원 |
342,510원 |
842,510원 |
600,000원 |
약 50,000원 |
약 292,000원 |
892,000원 |
800,000원 |
약 75,000원 |
약 267,000원 |
1,067,000원 |
1,000,000원 |
약 100,000원 |
약 242,000원 |
1,242,000원 |
기초연금은 줄어들 수 있지만, 합산 금액은 대부분 증가합니다.
5. 기초·국민연금 신청 방법
■ 방문 신청
- 주소지 주민센터
- 국민연금공단 지사
■ 온라인 신청
복지로 사이트: www.bokjiro.go.kr
■ 필요 서류
- 신분증
- 통장 사본
- 국민연금 수급 확인서
6. 꼭 알아야 할 꿀팁
- 부부 동시 수급 시 20% 감액 적용
- 재산·소득 변동 시 반드시 신고해야 불이익 방지
- 생일이 속한 달부터 신청 가능 → 미신청 시 소급 불가
7. 자주 묻는 질문 (Q&A)
Q. 기초연금과 국민연금은 무조건 같이 받을 수 있나요?
네, 소득·재산 기준만 충족하면 함께 수령 가능합니다.
Q. 국민연금이 많으면 기초연금은 얼마나 줄어드나요?
국민연금 513,760원 이상부터 초과 금액의 50%가 감액됩니다.
Q. 부부 둘 다 기초연금을 받으면 얼마가 줄어드나요?
부부감액 규정으로 각자 20%씩 삭감됩니다.
마무리
65세 이후 받을 수 있는 기초연금과 국민연금은 노후 생활 안정의 핵심 자산이에요.
다만 국민연금 금액에 따라 기초연금이 감액될 수 있으니,
반드시 본인의 예상 금액을 확인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.
조금이라도 손해 보지 않도록 미리 계산해보고, 신청 시기를 놓치지 마세요!

